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준수의 개발이야기

[Git] VScode로 Git 사용해보기 - Git 설치 및 VScode 연동 본문

개발/Git

[Git] VScode로 Git 사용해보기 - Git 설치 및 VScode 연동

준수 2022. 10. 10. 01:48

※ 주의

누군가에게 알려줄 마음보다는

내가 이해한대로, 내가 잊지 않기 위해 작성했을 가능성이 큼(?)


나는 CLI 형태보다 GUI 가 더 편하므로 

Git 설치 후 VScode로 연동하는 과정을 정리해보았다. 

 

Git 설치

설치는 아래 공식 사이트에서 OS환경에 맞게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https://git-scm.com/downloads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exp

git-scm.com

 

설치 과정은 그냥 계속 Next만 눌러도 문제없다.

하나 주의할 것은 기본 편집기를 선택하는 화면이 있는데 

여기서 자신이 편한 편집기를 선택하면 된다.

 

나는 VScode가 편하므로 VScode 선택

 


 

Git 기본 세팅 

VScode에 연동하기 전 사용자 정보를 등록해야한다.

등록하지 않으면 commit할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윈도우 CMD나 방금 설치 된 Git-Bash에서 입력하여 설정하면 된다.

# 개행문자 설정
## maxOS, Linux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 window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사용자 정보
# 커밋을 위한 정보등록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abc.com"

 


 

Git - VScode 연동하기

첫번째 방법

임의의 폴더를 git 리포지토리 폴더로 초기화(git init) 하여 github에 개시하는 방법이다.

폴더 열기 → 소스제어 → 리포지토리 초기화 → 게시 Branch 

 

그럼 상단에 아래와 같은 선택지가 나온다.

private : 비공개, 내가 공유한 사람만 접근가능
public : 모두에게 공개 

 

원하는 타입을 선택 하면 이상하게도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다.

 

원인을 내맘대로(?) 분석하자면 GIthub에 방금 게시한 리포지토리로 들어가면 아래처럼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읽어보니 파일을 최소 하나 이상 업로드를 해야만 하는 것 같다.

그래서 나는 README.md 파일을 해당 리보지토리로 업로드하였다. 

※ 참고로 커밋 메시지를 입력해야만 커밋이 된다.

 

그리고 다시 Github에 들어갔더니 정상적으로 잘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

Github에서 리포지토리를 먼저 생성한 다음 VScode에서 원격저장소 복제(git clone)를 활용하는 방법

 

Git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생성 → 리포지토리 복제 → Github에서 복제

 

먼저 Github에서 아래 순서대로 리포지토리 생성을 해보자.

※ Add a README file 은 되도록이면 체크하자. 해당 파일은 나중에 따로 다루겠지만 Github에서 굉장히 유용하게 쓰인다.

README.md
파일이나 프로젝트 등에 포함된 정보, 
보통 소프트웨어가 배포될 때 함께 포함되어 있다.
쉽게 생각하면 소스의 주석을 다는 것과 비슷하다.

 

이렇게 생성을 완료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Github에선 README.md 파일을 자동으로 읽어 아래 화면처럼 뷰를 제공한다.

※ 참고 원격 저장소를 생성하면 Default branch가 main이란 이름으로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름 수정 가능)

 

 

자 이제 원격 리포지토리 생성이 끝났으니 VScode로 가보자.

폴더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소스 제어를 들어가서 복제를 눌러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그럼 어떤 저장소를 Github에서 가져올지 선택을 하게되면

로컬 리포지토리 위치를 선택을 하기 위한 파일탐색기가 뜰 것이다.

거기서 자신이 원하는 workspace로 선택을 하면 아래 안내가 뜨고

열기를 누르면 완료다.

 


 

참조

https://taewow.tistory.com/13

https://dilee.tistory.com/3

https://inpa.tistory.com/entry/GIT-%E2%9A%A1%EF%B8%8F-VSCode%EC%97%90%EC%84%9C-Git-GUI-%EC%82%AC%EC%9A%A9%ED%95%98%EA%B8%B0#VSCode_-_git_init

https://myunji.tistory.com/192

 

 

 

제 맘대로 정리한거라 틀린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개발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VScode로 Git 사용해보기 - 기본활용  (2) 2022.10.17
[Git] VScode로 Git 사용해보기 - 개념편  (1) 2022.10.09
Comments